본문 바로가기
지식 공부/영어

[영어회화/영어표현] 프렌즈 시즌1, 12화 / Friends S1, EP12 Part 1

by 파프 2025. 3. 26.

1️⃣ Amnio (양수검사)

📌 의미 & 뉘앙스

Amnio는 Amniocentesis의 줄임말로, 양수검사를 의미함.

산모의 자궁에서 양수를 채취하여 태아의 건강 상태, 유전적 문제 등을 검사하는 절차.

프렌즈에서는 아기의 성별을 알기 위한 검사로 언급됨.

📌 예문

🔹 의료 관련 / Medical field

"We scheduled an amnio next week to check for genetic disorders."→ 우리는 유전 질환 검사를 위해 다음 주에 양수검사를 예약했어요.

"Amnio is usually done in the second trimester."→ 양수검사는 보통 임신 2분기에 시행돼요.

"There are small risks associated with an amnio, but it gives accurate results."→ 양수검사는 약간의 위험은 있지만 정확한 결과를 제공합니다.

🔹 일상 영어 / Daily conversation

"Did you do an amnio or wait for the ultrasound?"→ 양수검사 했어, 아니면 초음파 기다렸어?

"My sister was nervous before her amnio, but it went fine."→ 우리 언니는 양수검사 전엔 긴장했는데, 잘 끝났어.

"The amnio confirmed everything was normal."→ 양수검사 결과 모든 게 정상이라는 걸 확인했어.




2️⃣ Is it what we thought it would be?

📌 의미 & 뉘앙스

**우리가 생각했던 대로인 거야?**라는 의미.

아기의 성별이 기대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질문.

📌 문법 설명

What we thought it would be: 우리가 예상했던 상태나 결과.

📌 예문

🔹 의료 관련 / Medical field

"Is the test result what we thought it would be?"→ 검사 결과가 우리가 예상했던 거랑 같나요?

"Is the condition as severe as we thought it would be?"→ 상태가 우리가 생각한 것만큼 심각한가요?

"Is the diagnosis what you expected?"→ 진단 결과가 당신이 예상한 대로인가요?

🔹 일상 영어 / Daily conversation

"Is the movie what you thought it would be?"→ 영화 어땠어? 예상한 대로였어?

"Is your new job what you expected?"→ 새 직장 어때? 기대한 대로야?

"Is the vacation spot as nice as we thought it would be?"→ 휴가지가 우리가 기대한 만큼 좋아?




3️⃣ What did we think it was gonna be?

📌 의미 & 뉘앙스

우리가 그게 뭐라고 생각했더라?

예상이나 바람과 달리 결과가 나왔을 때의 반응.

📌 문법 설명

What did we think ~ was going to be?: 과거에 우리가 예상했던 것.

📌 예문

🔹 의료 관련 / Medical field

"What did we think the diagnosis was going to be?"→ 우리 진단이 어떻게 나올 거라고 생각했었지?

"What did we think would show up in the scan?"→ 영상에서 뭐가 나올 거라 생각했었지?

"What did we expect the lab report to say?"→ 검사 결과 보고서에 뭐가 나올 거라고 예상했지?

🔹 일상 영어 / Daily conversation

"What did you think the surprise was going to be?"→ 네가 예상한 그 놀라운 일이 뭐였는데?

"What did we think he’d say?"→ 우리가 걔가 뭐라고 할 거라 생각했었지?

"What did we think the ending would be like?"→ 결말이 어떻게 될 거라 생각했었지?




4️⃣ We're done with the yogurt.

📌 의미 & 뉘앙스

이제 요거트는 끝. (그만하자)

먹고 있던 요거트를 더는 못 먹겠다는 유머.

📌 문법 설명

Be done with + 명사: ~을 끝내다, 더 이상 안 하다.

📌 예문

🔹 의료 관련 / Medical field

"We're done with the injections for today."→ 오늘 주사는 여기까지야.

"You're done with the antibiotics."→ 항생제 복용은 끝났어요.

"We're done with this round of treatment."→ 이번 치료는 종료됐습니다.

🔹 일상 영어 / Daily conversation

"We’re done with that conversation."→ 그 얘기는 이제 끝났어.

"I’m done with dating apps."→ 나 소개팅 앱 이제 안 해.

"We’re done with sugar for a while."→ 우리 당분은 당분간 끊자.




5️⃣ First weekend away together.

📌 의미 & 뉘앙스

처음 함께 외박/여행 가는 주말

연인 관계의 전환점이나 중요한 이벤트.

📌 문법 설명

Away는 멀리 떨어져 있는 장소를 뜻하며, weekend away는 숙박이 포함된 외출.

📌 예문

🔹 의료 관련 / Medical field

"It’s my first weekend away from the hospital in months."→ 몇 달 만에 병원 밖에서 보내는 첫 주말이에요.

"She’s planning a weekend away after her surgery."→ 그녀는 수술 후 첫 주말 여행을 계획 중이에요.

"Doctors rarely get a full weekend away."→ 의사들은 주말을 온전히 쉬는 일이 드물죠.

🔹 일상 영어 / Daily conversation

"We’re planning our first weekend away together."→ 우리 첫 주말 여행을 계획 중이야.

"A weekend away helps you reset."→ 주말 여행은 재충전에 좋아.

"They had their first weekend away at the beach."→ 그들은 해변에서 첫 주말을 보냈어.


6️⃣ We are way past the fling thing.

📌 의미 & 뉘앙스

우리 관계는 가벼운 썸 단계를 훌쩍 넘었어.

‘fling’은 짧고 진지하지 않은 관계를 뜻하며, 여기서는 진지한 사이로 발전했다는 의미.

📌 문법 설명

Way past + 명사 → 어떤 상태나 단계를 훨씬 지난 상태를 강조함.

📌 예문

🔹 의료 관련 / Medical field

"We are way past the initial symptoms now."→ 이제 우리는 초기 증상 단계는 완전히 지났어요.

"The infection is way past mild — it's serious now."→ 감염은 이제 가벼운 수준을 넘어서 심각해졌어요.

"We're way past observation — we need treatment."→ 관찰 단계는 이미 지났고, 치료가 필요해요.

🔹 일상 영어 / Daily conversation

"We’re way past just being friends."→ 우리 이제 그냥 친구 사이 그 이상이야.

"You're way past curfew!"→ 너 통금시간 훨씬 넘었잖아!

"This joke is way past funny."→ 이 농담은 이제 웃기지도 않아.



6-1️⃣ Wasn’t this supposed to be just a fling, huh? Shouldn’t it be flung by now?

📌 의미 & 뉘앙스

“이건 그냥 가벼운 관계 아니었어? 이제 끝났어야 하는 거 아냐?”

‘fling’이라는 단어를 의도적으로 **동사형(flung)**처럼 사용해 농담을 하는 장면.

가벼운 관계가 생각보다 오래가고 있다는 걸 유머러스하게 꼬집음.

📌 문법 설명

Wasn’t this supposed to be ~? → 원래 ~였던 거 아니야?

Shouldn’t it be ~ by now? → 이제쯤은 ~됐어야 하는 거 아냐?

flung은 ‘fling’의 과거분사지만 여기선 명사인 fling을 동사처럼 재치 있게 변형해 사용.

📌 예문

🔹 의료 관련 / Medical field

"Wasn’t this supposed to be just a minor case? Shouldn’t it be resolved by now?"→ 이건 그냥 가벼운 케이스 아니었어요? 이제쯤 해결됐어야 하지 않나요?

"Wasn’t this supposed to be a short treatment?"→ 이건 단기 치료 아니었나요?

"Shouldn’t the symptoms be gone by now?"→ 증상이 지금쯤은 사라졌어야 하지 않나요?

🔹 일상 영어 / Daily conversation

"Wasn’t this supposed to be just casual?"→ 우리 그냥 가벼운 관계 아니었어?

"Shouldn’t this whole thing be over by now?"→ 이 모든 일은 이제 끝났어야 하는 거 아냐?

"Wasn’t this a one-time thing?"→ 이거 그냥 한 번뿐인 일이 아니었어?




7️⃣ If anything, you owe me a table.

📌 의미 & 뉘앙스

굳이 말하자면, 오히려 네가 나한테 테이블을 줘야지.

If anything은 앞서 한 말과 반대되거나 강조하는 내용을 부드럽게 이어주는 표현.

📌 문법 설명

If anything → “굳이 말하자면”, “오히려”라는 뜻으로 사용됨.

📌 예문

🔹 의료 관련 / Medical field

"If anything, the patient's condition has improved."→ 굳이 말하자면, 환자 상태는 오히려 나아졌어요.

"If anything, we reduced the risk."→ 오히려 위험도를 낮췄어요.

"If anything, the test shows less inflammation."→ 검사는 염증이 줄어들었음을 보여줘요.

🔹 일상 영어 / Daily conversation

"I'm not mad. If anything, I’m relieved."→ 화난 건 아니야. 오히려 안심이 돼.

"It wasn’t boring. If anything, it was too exciting!"→ 지루하긴커녕 너무 흥미로웠어!

"If anything, she helped more than we expected."→ 그녀는 오히려 우리가 기대했던 것보다 더 많이 도와줬어.



8️⃣ How’d you get that?

📌 의미 & 뉘앙스

그거 어떻게 된 거야? / 어떻게 그렇게 된 거야?

누군가 다쳤거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놓였을 때 자주 쓰는 표현.

📌 문법 설명

How did you get + 명사: 어떤 상태, 상처, 물건 등을 어떻게 얻게 되었는지를 묻는 표현.

📌 예문

🔹 의료 관련 / Medical field

"How’d you get that bruise on your arm?"→ 팔에 그 멍 어떻게 생긴 거예요?

"How did you get that rash?"→ 그 발진은 어떻게 생긴 건가요?

"How’d you get that scar?"→ 그 흉터는 어떻게 생긴 거예요?

🔹 일상 영어 / Daily conversation

"How’d you get that job?"→ 그 직장 어떻게 구했어?

"How did you get that idea?"→ 그런 생각은 어떻게 하게 됐어?

"How’d you get that stain on your shirt?"→ 셔츠에 그 얼룩은 어떻게 묻은 거야?




9️⃣ Let's just say the impressions you made in the butter left little to the imagination.

📌 의미 & 뉘앙스

간접적으로 민망한 자세나 흔적이 남았다는 걸 유머러스하게 말하는 표현.

Let’s just say ~는 말을 돌려서 하거나, 직접적으로 말하기 곤란한 걸 완곡하게 말할 때 사용.

📌 문법 설명

Let’s just say + 문장 → 말하기 조심스러운 상황에서 돌려 말하기용.

Leave little to the imagination → 너무 노출이 심하거나, 너무 명확해서 상상을 거의 하지 않아도 되는 상태.

📌 예문

🔹 Medical field

"Let’s just say the CT scan revealed more than we expected."→ CT 촬영 결과가 우리가 예상한 것보다 더 많은 걸 보여줬다고 해두자.

"Let’s just say the X-ray left little to the imagination in terms of bone damage."→ 뼈 손상 정도에 대해 X-ray가 너무 적나라하게 보여줬다고 해둘게.

"Let’s just say his MRI was very revealing."→ 그의 MRI는 아주 노골적으로 드러났다고 해둘게.

🔹 Daily conversation

"Let’s just say he wasn’t wearing much—left little to the imagination."→ 걔 거의 안 입고 있어서 상상할 필요도 없었다고 해둘게.

"Let’s just say her dress stole the spotlight."→ 그녀의 드레스가 모든 시선을 가져갔다고 해두자.

"Let’s just say things got intense at the party."→ 파티 분위기가 좀 과열됐다고 해둘게.




🔟 It’s a pretty big commitment, I mean, what if one of us wants to move out?

📌 의미 & 뉘앙스

동거에 대한 현실적인 부담감, 책임감에 대한 걱정을 나타냄.

📌 문법 설명

Pretty big → 강조 표현 (꽤 큰)

Commitment → 헌신, 책임, 큰 결정

What if ~ → 가정된 걱정 표현

📌 예문

🔹 Medical field

"Starting chemotherapy is a pretty big commitment."→ 항암치료를 시작하는 건 꽤 큰 결심이야.

"Becoming a full-time caregiver is a major commitment."→ 전임 간병인이 되는 건 정말 큰 책임이야.

"What if the treatment doesn’t work?"→ 치료가 효과가 없으면 어떡하지?

🔹 Daily conversation

"Marriage is a big commitment."→ 결혼은 큰 헌신이야.

"Getting a dog is a big responsibility."→ 강아지를 키우는 건 큰 책임이야.

"What if one of us changes our mind later?"→ 우리 중 한 명이 나중에 마음 바꾸면 어떡하지?



11️⃣ It’s just that we bought a hibachi together, and then he ran off and got married, and things got pretty ugly.

📌 의미 & 뉘앙스

과거 연인과의 복잡한 관계를 유머 섞어 회상하는 표현.

Ugly는 외모가 아니라 상황이나 감정이 험악해진 상태를 뜻함.

📌 문법 설명

It’s just that + 문장 → 핑계나 이유를 말할 때 부드럽게 시작

Got ugly → 상황이 나빠졌다는 의미

📌 예문

🔹 Medical field

"The surgery was going well until it got ugly with unexpected bleeding."→ 수술은 잘 진행되다가 예기치 못한 출혈로 상황이 나빠졌어.

"Things got ugly between two nurses arguing over protocol."→ 두 간호사가 지침 문제로 언쟁하면서 분위기가 험악해졌어.

"The patient chart error made things pretty ugly in the ER."→ 응급실에서 차트 오류로 상황이 꽤 복잡해졌어.

🔹 Daily conversation

"The breakup got ugly after she moved out."→ 그녀가 이사간 뒤 이별이 험악해졌어.

"The family dispute got pretty ugly over money."→ 돈 문제로 가족 간 다툼이 심해졌어.

"It started as a friendly debate, but it got ugly fast."→ 원래는 우호적인 토론이었는데 금방 분위기 험악해졌어.



12️⃣ What’s it gonna be?

📌 의미 & 뉘앙스

기대, 결정, 혹은 성별 같은 결과에 대한 질문.

📌 문법 설명

What’s it gonna be? = What is it going to be? (gonna는 구어체 축약)

📌 예문

🔹 Medical field

"What’s it gonna be—surgery or continued medication?"→ 어떻게 할 건가요, 수술이요 아니면 약물치료 계속할까요?

"We need to know: what's it gonna be for treatment?"→ 치료 방향을 정해야 해요. 어떻게 할 거죠?

"What's it gonna be—rehab or home care?"→ 재활센터로 갈 건가요, 아니면 집에서 돌볼 건가요?

🔹 Daily conversation

"So, what’s it gonna be—yes or no?"→ 그래서 어떻게 할 건데, 할 거야 말 거야?

"We’re waiting. What’s it gonna be?"→ 우리 기다리고 있어. 결정했어?

"Coffee or tea—what’s it gonna be?"→ 커피 마실래, 차 마실래?



13️⃣ I’m out of sorts.

📌 의미 & 뉘앙스

기분이 안 좋거나 몸 상태가 안 좋을 때 사용하는 표현.

📌 문법 설명

Out of sorts → 신체적 또는 정서적으로 컨디션이 나쁜 상태

📌 예문

🔹 Medical field

"The patient seems out of sorts today, keep an eye on him."→ 환자가 오늘 컨디션이 안 좋아 보여요, 잘 지켜봐 주세요.

"After the procedure, she was out of sorts for a few hours."→ 시술 후에 그녀는 몇 시간 동안 상태가 안 좋았어요.

"Feeling out of sorts? Let’s check your vitals."→ 몸이 좀 안 좋은가요? 활력 징후를 확인해볼게요.

🔹 Daily conversation

"I’m just out of sorts today—maybe it’s the weather."→ 오늘 좀 기분이 안 좋아. 아마 날씨 때문인 것 같아.

"You seem out of sorts. Everything okay?"→ 너 오늘 좀 안 좋아 보여. 무슨 일 있어?

"He's been out of sorts since the meeting."→ 그 사람 회의 이후로 계속 상태가 안 좋아 보여.


out of sorts와 비슷한 뉘앙스 표현들

1. Feeling under the weather

뜻: 몸이 좀 안 좋은 상태 (감기 기운, 피곤 등)

예문:

I'm feeling a bit under the weather today, so I think I'll stay home.
→ 오늘 몸이 좀 안 좋아서 집에 있으려 해.



2. Not feeling like myself

뜻: 평소와 다른, 컨디션이 안 좋은 느낌

예문:

I don’t know what’s wrong, I’m just not feeling like myself today.
→ 왜 그런지 모르겠지만 오늘은 평소 같지 않아.



3. Off

뜻: (몸이나 기분이) 이상하거나 꺼림칙할 때

예문:

Something feels off about her mood today.
→ 그녀 오늘 기분이 뭔가 좀 이상해 보여.



4. Feeling blue

뜻: 우울하거나 슬플 때

예문:

I’ve been feeling a little blue since the weekend.
→ 주말 이후로 좀 우울했어.



5. Out of it

뜻: 멍하거나 집중이 안 될 때

예문:

Sorry, I’m totally out of it today—I barely slept last night.
→ 미안, 오늘 완전 멍했어. 어젯밤에 거의 못 잤거든.



6. In a funk

뜻: 기분이 처지고 무기력할 때

예문:

She’s been in a bit of a funk lately—maybe it’s the weather.
→ 요즘 걔 좀 기분이 처져 있어. 아마 날씨 탓일 거야.



14️⃣ He made a move on me.

📌 의미 & 뉘앙스

누군가가 연애나 성적인 의도로 다가왔다는 의미로, 상황에 따라 유머나 불쾌함을 나타낼 수 있음.

Hitting on me보다 행동 중심의 느낌.

📌 문법 설명

Make a move on + 사람 → 작업 걸다, 유혹하다

📌 예문

🔹 Medical field

"A patient made a move on the nurse—report was filed."→ 한 환자가 간호사에게 들이대서 보고서가 작성됐어.

"He got suspended for making a move on a colleague."→ 동료에게 작업 걸었다가 정직 당했어.

"Make sure to report if someone makes a move on you during rounds."→ 회진 중 누가 들이대면 꼭 보고해.

🔹 Daily conversation

"He made a move on me at the party."→ 파티에서 그가 나한테 작업 걸었어.

"I didn’t expect her to make a move during dinner."→ 저녁 먹을 때 그녀가 들이댈 줄은 몰랐어.

"I thought we were just friends, then he made a move."→ 우린 그냥 친구라고 생각했는데, 걔가 들이댔어.



---

1. 비슷한 뉘앙스의 표현 (작업 걸다 / 들이대다)

1) He hit on me.

의미: 그가 나한테 작업 걸었어.

뉘앙스: 말로 유혹하거나 찝쩍댐 (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쓰임)

예문:

This guy at the bar totally hit on me.
→ 바에 있던 남자가 나한테 완전 들이댔어.




---

2) He was flirting with me.

의미: 나랑 썸타려는 듯 행동했어.

뉘앙스: 유혹은 하되 장난스럽거나 가볍게

예문:

I’m not sure, but I think he was flirting with me.
→ 확실하진 않지만 걔가 나한테 좀 꼬리 친 것 같아.




---

3) He tried to make a pass at me.

의미: 그가 나한테 들이댔어 (약간 더 성적인 뉘앙스 있음)

뉘앙스: slightly older 표현, 하지만 여전히 쓰임

예문:

He got drunk and tried to make a pass at me.
→ 걔가 취해서 나한테 들이댔어.




---

4) He came on to me.

의미: 그가 나한테 강하게 들이댔어.

뉘앙스: 적극적이고 대놓고 유혹하는 느낌

예문:

I was just being nice, and he totally came on to me!
→ 나 그냥 친절하게 대한 건데 걔가 완전 들이댔어!




---

5) He was all over me.

의미: 완전 찝쩍거렸어 / 손대려는 뉘앙스까지

뉘앙스: 너무 들이댐, 부담스러울 수 있음

예문:

He was all over me at the party—it was so uncomfortable.
→ 걔가 파티에서 나한테 너무 들이대서 너무 불편했어.



1. He was hitting on someone else while he’s in a relationship.

→ 걔 연애 중인데 다른 사람한테 작업 걸었어.

일반적이고 중립적인 표현

예문:
I can’t believe he was hitting on her while dating me.
→ 나랑 사귀는 중인데 걔가 걔한테 작업 걸었다는 게 믿기지 않아.



---

2. He was cheating (on me).

→ 걔 나 몰래 바람폈어.

사귀는 사람이 있음에도 다른 이성과 연애 감정/행동을 했을 때

예문:
Turns out he was cheating on me the whole time.
→ 알고 보니 걔는 내내 바람피고 있었어.



---

3. He was flirting with her behind my back.

→ 내 몰래 걔랑 썸탔어.

몰래 플러팅하거나 썸 타는 경우

예문:
He kept flirting with his coworker behind my back.
→ 걔는 직장 동료랑 몰래 계속 썸 탔어.



---

4. He made a move on someone else while we were together.

→ 우리가 사귀는 중에 걔가 딴 여자한테 들이댔어.

직접적으로 ‘move’를 취한 경우 (행동 중심)

예문:
He made a move on her even though we were still together.
→ 아직 나랑 사귀는 중인데도 걔한테 들이댔어.



---

5. He was two-timing me.

→ 걔 양다리였어.

두 사람과 동시에 사귀는 상태

예문:
I didn’t know he was two-timing me until I saw the messages.
→ 걔가 양다리인 줄 몰랐어. 메시지를 보기 전까지는.



<세 명 이상과 동시에 연애 중인 상황을 말하고 싶으면?>

1. He was dating multiple people at once.

→ 걔는 여러 명을 동시에 만나고 있었어.

2. He was cheating on all of them.

→ 걔는 그들 모두를 속이고 있었어.

3. He was playing more than one girl. (비격식)

→ 걔는 여러 여자랑 동시에 장난치고 있었어.


4. He was leading three girls

→ 걔는 세 여자한테 다 희망 고문하고 있었어.

✅ lead someone on 뜻

겉으로는 관심 있는 척 하면서 실제로는 진심이 아닌 경우

상대방에게 희망을 주는 말이나 행동을 하면서도,
그 기대를 충족시킬 의도는 없는 상황을 말해.



---

✅ 예문 (희망고문 느낌)

1. “I think he’s just leading you on.”
→ 걔는 그냥 너한테 희망고문하는 것 같아.


2. “Stop leading her on if you’re not serious about her.”
→ 진지한 마음 없으면 그녀한테 희망 주지 마.


3. “She led me on for months, then said she didn’t want a relationship.”
→ 그녀는 몇 달 동안 나한테 희망 주더니, 결국 연애는 싫다고 했어.

A: I thought we were dating... then he ghosted me.
B: Sounds like he was just leading you on.
→ A: 우리 사귀는 줄 알았는데, 걔가 잠수탔어.
→ B: 그냥 너한테 희망고문 한 거였나 보네.

<치료실에서 표현>
** don’t want to get (someone’s) hopes up

기대하게 하고 실망하게 만들기 싫다

치료사들이 아주 자주 쓰는 표현이야!


예문:

“I don’t want to get your hopes up, but your progress today is encouraging.”
→ 너무 기대하게 만들고 싶진 않지만, 오늘 회복 상태는 고무적이에요.

“Let’s not get his hopes up just yet. We need more data.”
→ 아직은 너무 기대하게 하지 말자. 좀 더 경과를 봐야 해.



<give (someone) false hope>

헛된 희망을 주다 / 현실 가능성이 낮은데 기대하게 만들다

중립적~부정적 표현


예문 (진료 상황):

“We don’t want to give you false hope about the surgery results.”
→ 수술 결과에 대해 헛된 희망을 드리고 싶지는 않습니다.

“I’m trying to stay realistic—we shouldn’t give her false hope.”
→ 나는 현실적으로 보려 해. 그녀에게 괜한 희망을 주면 안 돼.


------------------
"좀 더 경과를 봐야 해"에 해당하는 영어 표현 비교

1. We need more data.

의미: 우리는 좀 더 데이터를 수집해야 한다 → 객관적인 결과나 경과 관찰 필요

적절한 상황: 검사, 진단, 경과 관찰, 중재 효과 평가 등

예문:

Before making a decision, we need more data.
→ 결정을 내리기 전에 좀 더 데이터를 봐야 해요.

Let’s wait for more data before adjusting the treatment.
→ 치료 변경하기 전에 경과 데이터를 좀 더 지켜보죠.




---

2. It takes some time. / It’s going to take some time.

의미: 시간이 좀 걸려요 → 회복이 금방 되지 않음을 전달

적절한 상황: 환자가 회복을 조급해할 때, 과정이 길 때

예문:

Your body is healing. It takes some time.
→ 당신 몸은 회복 중이에요. 시간이 좀 걸려요.

Don’t worry—it’s going to take some time, but you’re getting there.
→ 걱정 마세요. 시간이 좀 걸릴 뿐, 잘 회복하고 있어요.




---

3. We need to monitor your progress a bit longer.

뜻: 회복 과정을 좀 더 지켜봐야 해요.

부드럽고 자연스러운 표현, 특히 환자에게 말할 때

예문:

You’re showing improvement, but we need to monitor your progress a bit longer.
→ 좋아지고 있긴 한데, 회복 경과를 조금 더 봐야 해요.

[혼합]
“You’re making progress, but it’s going to take some time. We’ll keep monitoring your response and gather more data.”
→ 좋아지고는 있지만 시간이 좀 걸릴 거예요. 반응을 지켜보면서 데이터를 더 수집할게요.


728x90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