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영상 속 핵심 문장 & 대화 상황
1) (약 02:21 주변)
“I'm looking at your changes in facial expression when I'm saying a certain story and trying to portray myself in a certain way.”
“(내가 어떤 이야기를 하며) 내 자신을 특정한 방식으로 보여주려고 할 때, 난 네 표정 변화를 살펴보고 있어.”
- 맥락: 감독(봉준호)과 대화를 나누면서, 로버트 패틴슨이 자신이 오디션 혹은 감독을 만났을 때 어떤 식으로 상대방 반응을 신경쓰고, 거기에 맞춰 자신을 보여주려 애쓴다고 말하는 장면.
- 대화에 활용: 상대방의 반응을 예의주시한다, 내 의도를 보여주려 노력한다 등 비즈니스나 일상에서 “나는 네 반응/표정/말투를 보고 있어”라고 말할 때.
2) (약 05:58 주변)
“I kind of gravitate towards people with social anxiety, and Mickey is such an unusual part.”
“나는 약간 사회적 불안이나 긴장감을 가진 사람들한테 끌리는 경향이 있어. 그리고 미키(Mickey)라는 캐릭터 자체가 참 독특한 역할이야.”
- 맥락: 로버트 패틴슨이 ‘Mickey 17’의 주인공 ‘미키’가 가진 불안하고 사회성 떨어지는 캐릭터에 이끌리는 면이 있다고 설명.
- 대화에 활용: 어떤 사람·성격·대상에 끌리는 이유를 말할 때: “I’m drawn to ~,” “I’m attracted to ~,” “I gravitate towards ~” 식 표현.
3) (약 06:35 주변)
“He keeps repeating the same mistakes again and again without any thought about the consequences.”
“(미키가) 아무런 결과에 대한 생각 없이 같은 실수를 계속 반복해.”
- 맥락: 캐릭터 묘사 – 미키가 얼마나 어리숙하고, 계속 같은 실수를 반복하는지.
- 대화에 활용: 누군가(나 혹은 타인)가 자꾸 실수를 반복한다거나, 결과를 고려하지 않는 행동을 할 때 사용하는 표현.
4) (약 07:15 주변)
“She starts dating him knowing that he’s not even human. … I mean, I guess some girls do like that.”
“그녀(극 중 다른 캐릭터)는 그가 인간이 아니라는 걸 알면서도 사귀기 시작해. … 뭐, 어떤 여자들은 그런 걸 좋아하나 봐.”
- 맥락: 미키(복제인간 같은 존재)와 여주인공의 관계를 농담조로 설명.
- 대화에 활용: 약간 농담조로, “I guess some people do like that / do that.” 식으로 “어떤 사람들은 그런 걸 좋아하기도/하기도 하지.”라는 패턴.
5) (약 07:54 ~ 08:20 주변)
“I felt deeply uncomfortable about saying, ‘I guess this one?’ and then having to repeat it afterwards.”
“(연기 장면 중에) ‘음, 이번 테이크로 가야겠네?’라고 말하고 또 똑같이 반복해야 한다는 게 굉장히 불편했어.”
- 맥락: 한 사람이 여러 캐릭터(미키17, 미키18)를 연기할 때, 테이크를 확정 짓고 정확히 반복하는 과정이 부담이 된다는 내용.
- 대화에 활용:
- ~ be (deeply) uncomfortable about ~ing: “~하는 게 불편하다/꺼려진다.”
- have to repeat: “반복해야 한다.”
6) (약 08:39 ~ 09:08 주변)
“Sometimes it’s disturbing, but I thought it was great, especially for this.”
“가끔은 방해가 되기도(혹은 거슬리기도) 하지만, 이 작품(‘Mickey 17’)에는 오히려 엄청 도움이 되었어.”
- 맥락: 본인이 여러 버전의 캐릭터(복제된 인물)를 연기할 때, 즉석에서 화면 확인을 해보는(모니터링) 게 어떨 땐 방해가 되지만 이번엔 큰 도움이 됐다는 점을 말함.
- 대화에 활용: 장단점을 말할 때 “Sometimes it’s ~, but I thought it was ~” 패턴.
7) (약 10:23 이후)
“When you have to convincingly be the same guy, you can’t just have a different accent all of a sudden. You have to calibrate that differentiation.”
“(한 영화 속에서) 같은 사람이어야 하는데, 갑자기 다른 억양을 쓰면 안 되잖아. 미묘한 차이를 조절해야 해.”
- 맥락: 한 인물이지만 복제된 다른 버전이므로 살짝씩 달라야 하는데, 너무 달라지면 안 되기에 ‘조정(calibrate)’이 필요하다는 말.
- 대화에 활용: 캐릭터, 혹은 일상 대화에서 “조정해야 한다” = “We have to calibrate/tweak/fine-tune it.”
2. 영어 공부에 유용한 표현 & 패턴
아래 패턴들은 위 문장들에서 추출했으며, 실제 대화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.
A. I kind of / sort of + 동사/형용사
- 의미: “약간 ~한 것 같다”, “좀 ~인 편이다” (말을 완곡하게 표현할 때 자주 사용)
- 예문:
- “I kind of gravitate towards quiet people.” (난 조용한 사람들에게 약간 끌리는 편이야.)
- “I sort of like that idea, but I’m not entirely sure.” (그 생각이 어느 정도 마음에 들긴 하지만, 확신은 없어.)
B. I guess… / I mean… / like…
- 의미:
- I guess: “내 생각엔 ~인 것 같아” (추측, 혹은 확실치 않은 의견)
- I mean: 앞서 한 말 보충, 강조 혹은 수정
- like: 대화 중간중간 “~같은” / “~라고 해야 할까?” 하는 자연스러운 연결사(필러)
- 예문:
- “I guess some people do like that.” (어떤 사람들은 그런 걸 좋아하기도 하긴 하지.)
- “I mean, it’s not that big of a deal.” (그러니까, 그게 그렇게 큰 문제는 아니야.)
- “He was like, ‘I don’t care,’ and just left.” (그가 막, “난 상관없어.” 하더니 가버렸어.)
C. without any thought about the consequences
- 의미: “결과(후폭풍)에 대한 어떤 생각도 없이”
- 예문:
- “They kept making the same mistakes without any thought about the consequences.” (그들은 결과를 고려하지 않고 계속 똑같은 실수를 반복했다.)
- “Be careful not to make big decisions without any thought about the consequences.” (결과를 고려하지 않고 큰 결정을 내리지 않도록 주의해라.)
D. feel (deeply) uncomfortable about ~ing
- 의미: “~하는 것에 대해 (매우) 불편함을 느끼다”
- 예문:
- “I feel uncomfortable about discussing personal issues in public.” (공개 석상에서 개인 문제를 얘기하는 게 불편해.)
- “He felt deeply uncomfortable about repeating the same line over and over.” (그는 같은 대사를 반복해서 말해야 하는 것에 대해 크게 불편해했다.)
E. I want to + 동사 … but I’m afraid that…
- 의미: “~하고 싶지만, ~가 걱정된다/두렵다.”
- 예문:
- “I want to try out for the lead role, but I’m afraid that I’m not good enough.” (주연에 도전하고 싶은데, 내가 충분하지 않을까 봐 두려워.)
- “I want to speak up, but I’m afraid that people might judge me.” (내 의견을 말하고 싶지만, 사람들이 날 판단할까 봐 걱정돼.)
F. We have to calibrate (or fine-tune) ~
- 의미: “(미묘한 차이를) 조정해야 한다.”, “세부적으로 다듬어야 한다.”
- 예문:
- “We have to calibrate our approach for each patient.” (우리는 환자마다 접근 방식을 조정해야 해.) → (의료현장에서도 유용!)
- “Let’s fine-tune the plan before we present it to the board.” (이사회에 발표하기 전에 계획을 미세 조정하자.)
3. 추가 팁: 의료 및 일상 대화에서 활용
- 의료 현장:
- “We need to calibrate the treatment plan based on the patient’s response.”
- “I guess some patients respond well to that therapy, but I need more data.”
- “He keeps repeating the same posture mistakes without any thought about the consequences for his joints.”
- 일상 대화:
- 친구·동료와 “I kind of gravitate towards people who are straightforward.”
- 자기소개에서 “I mean, I’m not a big fan of horror movies, but I’ll watch it if my friends insist.”
- 의견 제시 “I felt a bit uncomfortable about telling him the truth, but it had to be done.”
'지식 공부 > 영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영어회화/영어표현] 뭐라고 할 것 같아? / 고자질 할거야? 영어로 (0) | 2025.03.12 |
---|---|
[영어회화/영어표현] B31 미래시제 / 오는 길에 영어로 on your way back / 퇴근하다 영어로 get off / 나서다, 이륙하다 영어로 take off (0) | 2025.03.12 |
[영어회화/영어표현] when it comes to 뜻/ 의미/활용 (0) | 2025.03.09 |
[Overhead in the Treatment Room/OTR] Episode 1. Tennis (1) | 2025.03.08 |
[영어회화/영작] Would you want to be a famous, In what way? (0) | 2025.03.06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