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식 공부/영어
[영어회화/미드영어] 프렌즈 시즌1 10화, Part2
파프
2025. 3. 4. 02:33
📌 표현 정리 & 설명
1️⃣ "Make out with my girlfriend." (storms out)
✅ 의미 & 뉘앙스
- "Make out" → 키스하다, 진하게 스킨십하다 (보통 격정적인 키스를 의미)
- 맥스가 화를 내며 나가는 상황 → "내 여자친구랑 키스했다"라는 의미에서 화가 난 것.
✅ 비슷한 표현
- "Hook up with" → (상대방과 키스하거나, 관계를 가짐)
- "Fool around with" → (장난스럽게 애정 표현을 하다, 가벼운 연애)
✅ 예문
- "They were making out in the car last night." (어젯밤 그들은 차 안에서 진하게 키스하고 있었어.)
- "Did you make out with him?" (너 그 사람이랑 키스했어?)
2️⃣ "Getting so good at that!"
✅ 의미 & 뉘앙스
- "(You're) getting so good at that!" → "(너) 그거 정말 잘해지고 있어!"
- 상대방이 어떤 행동을 점점 더 잘하게 될 때 칭찬하는 표현.
- 피비가 놀리거나 장난스럽게 말하는 뉘앙스 가능.
✅ 비슷한 표현
- "You're improving so much!" → (너 정말 많이 늘었어!)
- "You're getting better and better!" → (점점 더 잘해지고 있어!)
✅ 예문
- "You've been practicing a lot! You're getting so good at playing the guitar!"
(연습 정말 많이 했구나! 기타 연주가 점점 더 좋아지고 있어!)
3️⃣ "I love this artichoke thing!"
✅ 의미 & 뉘앙스
- "This ~ thing" → 정확한 이름을 몰라서 "이거"라고 말하는 느낌.
- 즉, "나는 이 아티초크 요리가 좋아!" 같은 의미.
✅ 비슷한 표현
- "I love this avocado toast thing!" (이 아보카도 토스트 너무 좋아!)
- "I love this dessert thing!" (이 디저트 너무 맛있어!)
✅ 예문
- "I don’t know what this sauce is, but I love this spicy thing!"
(이 소스가 뭔지 모르겠는데, 이 매운 거 완전 좋아!)
4️⃣ "This is how you greet guests at a party? If I showed up here with my girlfriend, she wouldn't be welcome in your home?" (가정법)
✅ 의미 & 뉘앙스
- "This is how you ~?" → 비꼬는 느낌으로 "이게 네 방식이야?"
- "If I showed up here with my girlfriend" → 가정법 과거 (내가 왔다면, 이라는 가정)
- "She wouldn't be welcome in your home?" → 가정법 과거 (조동사 would)
- "만약 내가 여자친구를 데려왔다면, 그녀는 여기서 환영받지 못했겠네?"
✅ 비슷한 표현
- "Is this how you treat your friends?" → (친구들을 이렇게 대하는 거야?)
- "If I came late, would you be mad?" → (내가 늦게 왔다면 너 화났을 거야?)
✅ 예문
- "Is this how you behave in public?"
(너 공공장소에서 이렇게 행동하는 거야?)
5️⃣ "I'm guessing your new girlfriend wouldn't urinate on my coffee table."
✅ 의미 & 뉘앙스
- "I'm guessing ~" → "내 생각엔 ~일 것 같아." (추측하는 표현)
- "네 새 여자친구는 내 커피 테이블에 소변을 보지 않겠지."
- 상대방의 전 여자친구가 테이블에 소변을 본 적이 있어서 비꼬는 느낌.
✅ 비슷한 표현
- "I'm assuming your new roommate isn't as messy as the last one."
(내 생각엔 네 새 룸메이트가 지난번 룸메이트처럼 지저분하지 않겠지.)
✅ 예문
- "I'm guessing you didn't sleep well last night."
(내 생각엔 너 어젯밤에 잘 못 잤지?)
6️⃣ "And for him to have the courage to walk back in here like nothing happened."
✅ 의미 & 뉘앙스
- "For someone to ~" → "~하다니" (감탄)
- "그가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다시 여기 들어올 용기를 가지다니!"
- 비꼬면서 "뻔뻔하다"는 의미.
✅ 비슷한 표현
- "And for her to just ignore my message!" → (그녀가 내 메시지를 무시하다니!)
✅ 예문
- "And for him to ask me for money again!"
(그가 또다시 나한테 돈을 빌려달라고 하다니!)
7️⃣ "I do a little mingling?"
✅ 의미 & 뉘앙스
- "Mingle" → 사람들과 어울리다, 대화 나누다
- "Do a little mingling" → "가볍게 사람들과 어울려볼까?"
✅ 비슷한 표현
- "Shall we go socialize a bit?"
- "Maybe I should go talk to some people."
✅ 예문
- "At parties, I like to mingle and meet new people."
(파티에서는 사람들과 어울리고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는 걸 좋아해.)
8️⃣ "Her hair is disheveled."
✅ 의미 & 뉘앙스
- "Disheveled" → 헝클어진, 단정하지 않은
- "그녀의 머리가 헝클어졌다."
✅ 비슷한 표현
- "Her hair is messy."
- "She looks unkempt." (좀 더 부정적인 느낌)
✅ 예문
- "After sleeping in, my hair is always disheveled."
(늦잠을 자고 나면 항상 머리가 헝클어진다.)
✅ 📌 결론:
📌 각 표현은 뉘앙스와 감정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며, 프렌즈의 유머 스타일을 반영한 비꼬거나 장난스러운 표현이 많음!
📌 가정법, 진행형, 수동태 같은 문법을 자연스럽게 녹여 표현하고 있음.
📌 각 표현을 회화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예문과 함께 익히면 훨씬 자연스러운 대화 가능! 😆✨
7️⃣ "Her face is bloated."
✅ 의미 & 뉘앙스
- "Bloated" → 부은, 부풀어 오른 (보통 얼굴, 배, 몸의 붓기를 표현)
- "그녀의 얼굴이 부어 있다."
- 술을 마셨거나, 짠 음식을 먹었거나,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해 붓는 상황에 자주 사용됨.
✅ 비슷한 표현
- "Her face looks puffy." → (그녀의 얼굴이 퉁퉁 부었다.)
- "My stomach feels bloated after eating too much." → (너무 많이 먹어서 배가 더부룩해.)
✅ 예문
- "My eyes get bloated when I cry too much."
(나는 너무 많이 울면 눈이 부어.)
8️⃣ "When this woman, this blonde planet with a pocketbook, something about how it was her cab first. And I hit my head on the curb and cut my lip on my whistle."
✅ 의미 & 뉘앙스
- "Blonde planet" → 금발 여성을 과장해서 "행성"처럼 묘사 (그녀가 아주 크다는 느낌을 주는 유머)
- "With a pocketbook" → 작은 핸드백을 든 상태
- "Something about how it was her cab first" → "그 여자가 자기 택시였다고 주장하는 듯한 무언가를 말했어."
- "I hit my head on the curb and cut my lip on my whistle." → "나는 연석(도로경계석)에 머리를 부딪히고 휘슬 때문에 입술이 찢어졌어."
✅ 비슷한 표현
- "Some big blonde lady with a purse tried to steal my cab."
- "I fell and hit my head on the sidewalk."
✅ 예문
- "Some guy pushed me, and I hit my knee on the curb!"
(어떤 남자가 날 밀어서 연석에 무릎을 부딪혔어!)
9️⃣ "I get to see him again."
✅ 의미 & 뉘앙스
- "Get to do something" → "~할 기회를 얻다, ~할 수 있다."
- "나는 그를 다시 볼 기회가 생겼어!"
- 기쁜 감정을 표현하는 데 자주 사용됨.
✅ 비슷한 표현
- "I have the chance to see him again."
- "I'm lucky to see him again."
✅ 예문
- "I get to work from home today!"
(오늘은 재택근무할 수 있어!)
🔟 "I didn't necessarily think that it meant that we—"
✅ 의미 & 뉘앙스
- "Not necessarily" → "꼭 그런 건 아니야." (강한 부정을 피하면서 반박하는 표현)
- "내가 꼭 그게 우리 관계를 의미한다고 생각했던 건 아니야..."
- 보통 변명하거나 조심스럽게 말할 때 사용됨.
✅ 비슷한 표현
- "I didn’t exactly mean that." → (내가 정확히 그런 의미로 말한 건 아니야.)
- "I wasn’t necessarily implying that." → (꼭 그렇게 암시하려던 건 아니야.)
✅ 예문
- "I didn’t necessarily agree with her, but I understood her point."
(내가 그녀의 말에 꼭 동의한 건 아니지만, 그녀의 입장은 이해했어.)
1️⃣1️⃣ "She runs off, walks off."
✅ 의미 & 뉘앙스
- "Run off" → 급하게 뛰어나가다
- "Walk off" → 조용히 걸어나가다
- "그녀가 뛰쳐나갔다" / "그녀가 걸어나갔다."
- 두 표현 모두 "떠나다"를 의미하지만, "run off"는 더 감정적이고 급한 상황을 의미함.
✅ 비슷한 표현
- "Storm off" → (화가 나서 확 나가버리다.)
- "Take off" → (떠나다.)
✅ 예문
- "She got upset and stormed off."
(그녀는 화가 나서 확 나가버렸어.)
1️⃣2️⃣ "You belong in Minsk."
✅ 의미 & 뉘앙스
- "You belong in ~" → "~가 네가 있어야 할 곳이야."
- "너는 민스크에 있어야 해." → 네 자리는 거기야.
- 상대방이 다른 곳에서 더 어울린다고 말하는 표현 (장난스럽거나 진지하게 사용 가능).
✅ 비슷한 표현
- "You should be in Minsk."
- "Your place is in Minsk."
✅ 예문
- "You belong in Hollywood!"
(너는 할리우드에 있어야 해!)
1️⃣3️⃣ "And then the peacock bit me."
✅ 의미 & 뉘앙스
- "Bit me" → 나를 물었다
- "그리고 나서 공작이 나를 물었어."
- 황당한 상황을 이야기할 때 사용됨.
✅ 비슷한 표현
- "And then the dog bit me."
- "A squirrel attacked me!"
✅ 예문
- "I was just standing there, and then a goose bit me!"
(그냥 서 있었는데 거위가 날 물었어!)
1️⃣4️⃣ "We're in a virtual snowstorm of confetti here in Times Square."
✅ 의미 & 뉘앙스
- "Virtual snowstorm" → 마치 눈보라처럼 많은 양
- "타임스퀘어는 지금 마치 색종이 눈보라 속에 있어요!"
- 큰 이벤트에서 화려한 분위기를 표현할 때 사용됨.
✅ 비슷한 표현
- "It's raining confetti in Times Square!"
- "There's confetti everywhere!"
✅ 예문
- "The stadium was in a virtual blizzard of confetti!"
(경기장은 색종이 눈보라로 가득했어!)
1️⃣5️⃣ "And the moment of joy is upon us."
✅ 의미 & 뉘앙스
- "Upon us" → "지금 닥쳐왔다."
- "이 기쁨의 순간이 우리에게 다가왔습니다!"
- 격식 있는 표현으로, 큰 행사나 중요한 순간에 자주 사용됨.
✅ 비슷한 표현
- "The moment of truth is here!"
- "The big moment has arrived!"
✅ 예문
- "The long-awaited moment is upon us!"
(오래 기다린 순간이 마침내 다가왔습니다!)
1️⃣6️⃣ "I'd throw this out here. I'm no math whiz."
✅ 의미 & 뉘앙스
- "Throw this out here" →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표현
- "Math whiz" → 수학 천재
- "그냥 한번 던져보는 말인데, 난 수학 천재는 아니야."
- 겸손하게 의견을 내거나, 가볍게 농담할 때 사용됨.
✅ 비슷한 표현
- "Just throwing it out there, but what if we try this?"
- "I’m no expert, but here’s my idea."
✅ 예문
- "I'd throw this out here, but maybe we should leave early?"
(그냥 한 번 말해보는 건데, 우리 일찍 가는 게 어떨까?)
1️⃣7️⃣ "And the moment of joy is upon us."
✅ 의미 & 뉘앙스
- "Upon us" → "우리에게 다가왔다"
- "이 기쁨의 순간이 우리에게 닥쳐왔다!"
- 격식 있는 표현으로, 공식적인 방송, 연설, 행사에서 사용됨.
✅ 비슷한 표현
- "The moment of truth is here." → (결정적인 순간이 왔다.)
- "The special moment has arrived." → (특별한 순간이 도착했다.)
✅ 예문
- "The long-awaited championship game is upon us!"
(오래 기다려온 챔피언십 경기가 이제 다가왔습니다!) - "And now, the moment we've all been waiting for is upon us."
(그리고 지금, 모두가 기다려온 순간이 다가왔습니다.)
1️⃣8️⃣ "I'd throw this out here. I'm no math whiz."
✅ 의미 & 뉘앙스
- "Throw this out here" → 아이디어를 가볍게 제안하는 표현
- "I'm no math whiz" → "나는 수학 천재는 아니지만..." (자신을 낮추면서 말하는 표현)
- "그냥 한 번 던져보는 말인데, 나는 수학 천재는 아니야."
- 보통 자신의 의견을 내기 전에 겸손하게 말하는 방식.
✅ 비슷한 표현
- "I'm just throwing it out there, but what if we try a different approach?"
(그냥 한 번 말해보는 건데, 우리 다른 접근법을 시도하는 게 어때?) - "I'm not a math genius, but that doesn't seem right."
(나는 수학 천재는 아니지만, 저건 뭔가 이상한 것 같아.)
✅ 예문
- "I'd throw this out here, but maybe we should change our strategy?"
(그냥 한 번 던져보는 말인데, 전략을 바꿔볼까?) - "I'm no math whiz, but shouldn't 2+2 be 4?"
(나는 수학 천재는 아니지만, 2+2는 4가 되어야 하는 거 아니야?)
1️⃣9️⃣ "He's just phoning it in."
✅ 의미 & 뉘앙스
- "Phone it in" → "대충 하다, 열정 없이 하다."
- "그는 그냥 대충 하고 있어."
- 일을 형식적으로만 하고, 노력이나 열정을 쏟지 않는 상황에서 사용됨.
- 유래: 배우들이 연기 리허설을 할 때, 현장에 오지 않고 전화를 통해 대사만 읊는 경우에서 유래.
✅ 비슷한 표현
- "He's just going through the motions." → (그는 그냥 형식적으로 하고 있어.)
- "He's not even trying." → (그는 제대로 노력조차 안 하고 있어.)
- "He's half-assing it." → (그는 대충대충 하고 있어.) (비격식)
✅ 예문
- "He used to be passionate about his job, but now he's just phoning it in."
(그는 예전에는 자신의 일에 열정적이었는데, 이제는 그냥 대충 하고 있어.) - "The actor looked bored during the performance. He was totally phoning it in."
(그 배우는 공연 내내 지루해 보였어. 완전 대충 하고 있었어.) - "I can tell you're phoning it in. Put some effort into it!"
(너 그냥 대충 하고 있는 거 다 보여. 좀 더 노력해!)
728x90
반응형